충남천안 스마트그린산단 추진현황 |
|
2023. 2.
|
목 차 |
|
Ⅰ. 사업단 구성 및 현황 1
Ⅱ. 스마트그린산단의 개요 2
1. 추진배경 2
2. 스마트그린산단의 개념 3
Ⅲ. 사업추진 방향 5
1. 비전 및 목표 5
2. 기본전략 6
Ⅳ. 2023년 추진사업 현황 7
1. 2023년 국비확보 현황 7
2. 2023년 추진사업 세부내용 8
통합관제센터 8
스마트물류플랫폼 9
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10
스마트에너지플랫폼 11
Ⅴ. 세부사업 예산계획(안) 12
- 2 -
Ⅰ. 사업단 구성 및 현황 |
□ 추진경과
ㅇ `22.08.23 2022년 스마트그린산단 지정승인(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22- 137호)
* (`19) 창원, 반월시화, 인천, 구미, (`20) 광주, 대구, 여수, (`21) 부산, 울산, 군산, (`22) 청주, 천안, 대불, 대전, 포항
ㅇ `22.09.21 천안스마트그린산단 실행계획 수립
ㅇ `22.12.23 국회 본회의 의결로 2023년 국비 확보(출연금 110억원)
* 통합관제센터 30억원, 물류플랫폼 10억원, 고급인력양성 40억원, 에너지플랫폼 30억원
ㅇ `23.01.02 사업단 사무실 구축완료
ㅇ `23.02.20 충남천안 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 출범행사 개최
□ 조직 : 단장, 3팀 총 8명
충남천안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 단 장 최 경 용 (산단공 충청지역본부장) |
|||||||||||
산단혁신기획팀(2명) |
디지털산단팀(3명) |
저탄소산단팀(2명) |
|||||||||
팀장 정재일(산단공) 차장 박현식(산단공) |
팀장 강현직(충남도) 차장 박일수(충남도) 과장 김 철(생기원) |
팀장 박성자(천안시) 차장 변성수(천안시) |
* 인원구성 : 산단공 2, 충남도 2, 천안시 2, 생산기술연구원 1
□ 주요 업무
부서명 |
주요 업무 |
산단혁신 기획팀 |
· 스마트그린산단 실행계획 수립, 예산대응, 사업 기획·관리·평가 · 지역별협의회 및 자문단 운영, 세부사업 수행기관 선정평가 · 인사, 예산, 회계, 세무, 계약, 구매, 홍보, 보안, 전산 업무 등 운영총괄 |
디지털산단팀 |
· 스마트그린산단 디지털분야 세부사업 총괄(스마트제조, 물류, 데이터) · 스마트공장 보급‧확산‧고도화 사업 및 스마트공장 인력 양성 사업 · 산업단지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 사업 등 제조혁신 및 신산업 육성 사업 발굴 |
저탄소산단팀 |
· 스마트그린산단 그린분야 세부사업 총괄(탄소중립, RE100, 에너지) · 생태산단 개발 및 태양광 발전사업,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 · 디지털기반 자원순환 시범산단 및 친환경·자원순환 업무 총괄 |
- 1 -
Ⅱ. 스마트그린산단 개요 |
1. 추진배경
□ 산단은 제조업의 근간이며, 중소기업의 요람, 지역경제의 중추
ㅇ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 생산의 67%, 수출의 67%, 고용의 49%를 차지
< 전국 산업단지 현황(‘19.12월) > < 제조업대비 산단의 생산‧수출‧고용비중 추이 >
산업단지 |
지정(개) |
면적(k㎡) |
기업(개) |
고용(천명) |
생산(조원) |
수출(억불) |
국가 |
47 |
587 |
53,725 |
1,088 |
527 |
1,733 |
일 반 |
673 |
529 |
40,828 |
968 |
405 |
1,690 |
도시첨단 |
28 |
8 |
895 |
14 |
2 |
5 |
농 공 |
472 |
76 |
7,486 |
153 |
57 |
120 |
총 계 |
1,220 |
1,200 |
102,934 |
2,223 |
991 |
3,548 |
□ 제조업 둔화와 산단 활력저하로 中企와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
① (산업) 가동률 하락,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력 저하
* (가동률) ‘16년 82.8% → ‘18년 80.0% → ‘19년 78.2%, (부가가치) 기업당 생산액 ‘17년 122억 → ‘19년 105억
② (공간) 산업 기반시설 노후화, 에너지 다소비·환경오염의 주범
* (노후산단) (17년) 50개→(18년) 83개→(22년) 236개, 제조업 부분 에너지 사용량의 83% 차지
③ (사람) 산단 내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, 디지털 전문인력 부족
* 산단 내 연령분포(필요인력) (%, ‘18년) : (20대) 15.2(29.9) (30대) 32.5(51.6) (40대~) 52.3(18.5)
* (스마트인력 수요) ’25년까지 3.5만명 필요(공장 1개당 5명 소요, 중기부 ’18년)
□ 제조업 활력회복, 지역경제 재생을 위해 산단중심의 혁신대책 시급
ㅇ 기존 산단에서 디지털 요소를 접목하고, 디지털·그린전환 요소를 강화·확대하여 지속적인 新산업 육성공간으로 재편
⇨ 산단中心 스마트화를 통해 中企제조혁신을 선도하고, 일자리를 |
- 2 -
2. 스마트그린산단의 개념
□ (스마트산단) 개별기업의 스마트화를 넘어, 산단 내 기업 간 데이터 연계·공유*로 동일 업종·밸류체인 기업들이 스스로 연계·스마트화되는 산단
* 개별기업 단위의 시설 → 연결형 디지털 인프라(혁신데이터센터‧데모공장 등)
ㅇ (추진전략) ➊ 산단 내 스마트공장 확산 및 데이터 공유형 제조혁신 촉진, ➋ 쾌적한 근로·정주환경을 통해 산단 근로자들의 만족도 제고, ➌ 창업과 신산업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촉진
□ (스마트그린산단) 산단 입주기업과 인프라의 디지털화, 에너지 자립화, 친환경화하여 경쟁력 있고 환경친화적인 제조공간으로 탈바꿈
ㅇ 기업집적도가 높고 산학연 협력이 용이한 산업단지는 디지털·그린 전한 실증의 최적지이며 스마트산단을 스마트그린산단으로 확대
< 스마트그린산단 법적정의 >
ㅇ 14의2. “스마트그린산업단지”란 입주기업체와 산업집적기반시설ㆍ산업기반시설 및 공공 시설 등의 디지털화, 에너지 자립 및 친환경화를 추진하는 산업단지를 말함 ㅇ 14의3. “스마트그린산업단지 촉진사업”이란 「지능정보화 기본법」 제2조제4호에 따른 지능정보기술(이하 “지능정보기술”이라 한다)을 접목하여 제조공정을 혁신하는 등 주력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, 에너지 효율의 증대 및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등을 추진하며,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 촉진을 통하여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을 말함 |
□ (대개조계획과 연계) 스마트그린산단을 산단대개조의 거점산단으로 지정, 스마트그린산단의 디지털화·그린화를 산단 → 지역 단위로 확산
* 산단대개조 : 시·도당 1개 거점산단(스마트그린산단) 및 2~3개 연계산단·지역
< 스마트그린산단, 산단대개조 계획 개념 >
<산단대개조 >
+
|
- 3 -
< 스마트그린산단 10대 대표사업 개요 >
사업명 |
추진지역 |
사업내용 |
①스마트편의시설 확충(스마트부스) |
(종료) 창원·반월시화 |
ICT를 접목한 지능형 편의시설 설치(다기능 스마트부스) |
②스마트편의시설 확충(통합관제) |
(종료) 남동·구미·반월 (계속) 창원·대구·광주·여수·부산·군산·울산 (신규) 청주·천안·대불·포항 |
산단 내 위험물, 환경오염, 교통관리를 위해 IoT, 지능형 CCTV, 유관기관 데이터 연계·활용한 시스템 운영 * IoT 환경센서 시스템 설치(실측정보) + 지능형 CCTV 구축(영상정보) + 공공데이터 연계(기상・환경・지형정보 등) → 실시간 모니터링 및 산단 위험관리 예측 강화 |
③스마트편의시설 확충(물류플랫폼) |
(종료) 창원·남동·반월 (계속) 구미·대구·광주·여수·부산·군산·울산 (신규) 청주·천안·대불·포항 |
노후화된 기존 공동물류센터에 ICT&AI 기술적용으로 물류비용 절감 및 산단내 유휴 창고를 연계, 활용 * 공동물류 참여기업과 물류사업자(운송, 보관 등) 대상센서 등 디바이스를 지원하고, 데이터 수집과 물류수급 지능형 매칭 |
④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 |
(종료) 창원 (계속) 구미·여수 (신규) 2개소 공모 |
제품 개발, 제작, 성능 검증까지 전체 공정을 가상 설계 지원을 통한 중소‧중견기업의 스마트제조 혁신역량 강화 * 기업들이 비싼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 업체에 의뢰하지 않고, 센터의 시물레이션을 통해 제품 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 |
⑤혁신데이터센터구축 |
(종료) 창원·반월 *중기부 이관 |
제조데이터 수집, 저장, 분석 인프라 구축 및 솔루션을 제공하여 공정혁신 지원 |
⑥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 |
(종료) 창원·반월 |
스마트제조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모듈형 생산시스템 구축을 통한 제조기술 검증 및 기업지원 |
⑦스마트산단제조혁신기반구축 |
· (소부장) 남동· 구미(계속) · (사업다각화) 반월(계속) · (B2B) 전체산단(본사) · (지역특화센터) 대구·광주(기존), 군산·청주·대불·포항(신규) |
⦁(남동, 구미) 소재·부품·장비 분야 지원센터 구축 및 검사·분석·인증절차 지원 ⦁(반월시화) 사업다각화 플랫폼 구축,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진단·분석컨설팅, 신사업 성장유망기업 육성 프로그램 운영 ⦁(전체) B2B제조거래 수요- 공급기업 매칭 및 시제품 지원 ⦁(대구,광주) 지역특화산업 및 분산에너지 관련기업 육성 |
⑧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 |
(종료) 남동·구미·반월·창원·대구·광주·여수 (계속) 부산·울산·군산 (신규) 청주·천안·대불·포항 |
스마트제조 분야 학부·대학원 과정(재직자 등) 교육환경 조성, 현장 문제해결 중심 커리큘럼 개발 운영, 산학 공동 인력양성 및 기업 애로기술 지원 |
⑨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|
(종료) 남동·구미·반월·창원·대구·광주·여수 (계속) 부산·울산·군산 (신규) 청주·천안·대불·포항·대전 |
산단 통합에너지시스템(EMS)을 구축하여 클라우드 방식의 기업 에너지효율 향상 서비스 제공 및 에너지 데이터 축적 |
⑩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|
(종료) 창원 (계속)반월시화·구미 (신규) 7개소 공모 |
산단 내 연료전지,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와 ESS를 확충하고, 전기차 발전 등에 기반한 에너지 거래 네트워크 실증 |
- 4 -
Ⅲ. 충남천안스마트그린산단 사업추진 방향 |
1 |
비전 및 목표 |
비전 |
스마트 · 친환경 · 사람중심 · 재난 ZERO 미래형 산단조성 |
|||||
|
||||||
구분 |
단기(‘23~’25) |
중장기(‘26~’27) |
||||
사업 목표 |
디지털 |
ㅇ 스마트 물류 플랫폼 구축 ㅇ 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 방식 스마트팩토리 구축 |
ㅇ 스마트제조솔루션 개발환경 구축 ㅇ 제조공정혁신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|
|||
그 린 |
ㅇ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ㅇ 산단 에너지관리 인프라 구축 |
ㅇ 친환경 그린 산단 조성 ㅇ 산단 에너지관리 고도화 |
||||
휴 먼 |
ㅇ 지역 일자리 맞춤형 거버넌스 구축 ㅇ 문화·복지·편의 융합형 스마트 편의 시설 구축 |
ㅇ 지역 일자리 맞춤형 거버넌스 운영 ㅇ 문화·복지·편의 융합형 스마트 편의 시설 확장 |
||||
|
||||||
과제 전략 |
기업 (산업) |
산업단지 (공간) |
혁신‧산업 생태계 (사람) |
|||
디지털 |
•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구축 및 운영 • 혁신데이터센터 구축 • 테스트베드 구축 및 기업지원 (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) • 스마트산단 제조혁신 기반 구축 |
• 스마트 편의시설 확충 (물류 플랫폼 구축) • (소부장) 반도체 패키징 소부장 지원센터 • 스마트 편의시설 확충 (통합관제센터 구축) •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|
• 스마트 고급 인력 양성 |
|||
그 린 |
• 스마트 에너지 플랫폼 구축 • 에너지 자급·자족형 인프라 구축 • 센서기반 그린산단 플랫폼 기술 실증 |
• (소부장) 디스플레이 반도체 친환경 지원센터 협업사업 •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|
협업사업 • 미세먼지 없는 그린산단 • 탄소중립 대응 미래차 융합산업 대전환 • 산업계 기후변화 대응 기반구축 및 경쟁력 제고 |
|||
휴 먼 |
협업사업 • 화학물질 사고 Zero 스마트 안전팩토리 구축 협업사업 • 충남 산단 재난·재해 통합안전망 구축 |
• 복합 문화센터 건립 (스마트편의시설 확충(인프라)) • 산단 내 스마트 편의시설 고도화 |
• 근로자- 가족 질환 제로 헬스 팩토리 산단 구현 • 산단 내 친환경 모빌리티 교통시스템 구축 |
- 5 -
2 |
기본전략 |
< 기본방향 > |
||
◈ 탄소중립 기반 융합형 스마트 산단 조성을 통한 3대 주력산업(자동차 부품, 디스플레이, 반도체) 간 융합 및 병행을 통해 글로벌 허브 구축 |
(디지털 산단) 디지털인프라, 친환경 기술 도입을 통한 기반시설 고도화 및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ㅇ (스마트 물류) 스마트 물류시스템 구축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산단 조성 ㅇ (디지털 기반) 스마트산단 제조혁신 기반구축을 통한 충남형 스마트 기반 제조혁신 가속화 ㅇ (제조혁신) 미래 신산업 다양화를 통한 충남 제조업의 부활 및 지속 성장 가능한 新성장동력 확보 (그린 산단) 탄소중립 지향 그린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입주기업 친환경·고효율 인프라 보급 완성 ㅇ (에너지) 스마트 기반 산단 기업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인프라 고도 추진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RE100 달성기업 창출 ㅇ (친환경) 저탄소 공정혁신,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도입을 통한 고효율화 촉진, 신재생에너지 적극 전환을 통한 그린산단 가속화 (휴먼 산단) 일- 문화- 복지가 공존하는 모두가 만족하는 행복산단 조성 및 재난·재해에서 안전한 산단 구축 ㅇ (인력양성) 현장 특성 중심, 산·학·연 협력기반 적정인력 안정적 공급을 위한 인력양성 생태계 강화 ㅇ (재난재해) 사람- 산단- 기업이 모두 안전을 향후 할 수 있는 스마트 기반의‘중대재해 ZERO’안전산단 구축 ㅇ (친화공간) 모두가 함께 공존하고 누릴 수 있는 완성형 클러스터 구축으로 산단을 정주- 문화- 복지가 함께하는‘누림터’로 변화 촉진 |
- 6 -
Ⅳ. 2023년 추진사업 현황 |
1 |
2023년 국비 확보 현황 |
□ ‘23년 천안지정 국비 확보현황 : 110억원 확보
(단위 : 억원)
사업 |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|
통합관제센터 |
30 |
30 |
60 |
35 |
15 |
50 |
20 |
20 |
85 |
45 |
130 |
|||||
스마트물류플랫폼 |
10 |
1 |
11 |
30 |
2 |
32 |
10 |
2 |
12 |
50 |
5 |
55 |
||||
고급인력양성 |
40 |
4 |
44 |
20 |
2 |
22 |
60 |
6 |
66 |
|||||||
스마트에너지플랫폼 |
30 |
3 |
33 |
20 |
2 |
22 |
20 |
2 |
22 |
70 |
7 |
77 |
||||
계 |
110 |
30 |
8 |
148 |
105 |
15 |
6 |
126 |
50 |
0 |
4 |
54 |
265 |
45 |
18 |
328 |
□ ‘23년 전국 공모 국비 현황
ㅇ (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) 총 2개소 국비 60억원
사업 |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|
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 |
30 |
6 |
6 |
42 |
70 |
14 |
14 |
98 |
80 |
16 |
16 |
112 |
180 |
36 |
36 |
252 |
* (종료 및 계속사업현장) 창원(387.7억원), 구미(195억원), 여수(259억원)
ㅇ (에너지자급자족인프라) 총 7개소 국비 210억원
사업 |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|
에너지자급자족인프라 |
30 |
15 |
45 |
80 |
40 |
120 |
90 |
45 |
135 |
200 |
100 |
300 |
* (종료 및 계속사업현장) 창원(393억원), 구미(395.6억원), 반월시화(300억원)
- 7 -
2 |
2023년 추진사업 세부 내용 |
|
(지정) 통합관제센터 구축 (2023~2025, 1차년도) |
1. 사업개요
□ 노후산단 內 디지털 인프라 확충*을 토대로 안전, 환경, 교통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한 사전 예측 및 신속 대응이 가능한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
* 5G기반 IoT센서, 지능형 CCTV 및 산단 내 안전・환경 데이터와 연계한 정보수집 인프라 구축
2. 사업예산
(단위 : 억원)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30 |
30 |
60 |
35 |
15 |
50 |
20 |
20 |
85 |
45 |
130 |
3. 사업추진 필요성
□ 천안제3산단은 단지 노후화 가속화로 인하여 안전·환경사고*(화재, 환경오염, 위험물) 및 도로교통, 주차 등의 문제 심화
* 업종별 사고재해(‘18~’20) : 제조업 4,594건(사망 50명), 건설업 4,152건(사망 93명), 기타 4,918건(사망39명)
□ 노후화 된 거점산단의 안전과 도로교통 대책 마련을 위한 지능형 디지털 인프라 확충을 위해 통합관제 센터 도입 필요
4. 향후 추진방향
□ (통합관제센터 구축) 노후 산단내 데이터 수집, 모니터링 및 신속대응이 가능한 통합관제센터 구축(디지털트윈플랫폼 활용)
ㅇ 첨단 DNA(Data·Network·AI) 및 디지털 트윈 기반의 교통·환경·안전 사고 사전예측 및 신속 대응체계 지원을 위한 거점센터 구축
□ (5G기반 통합관제서비스 제공) 재난·재해 대비, 시설물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전 대응 및 안전 사각지대 해소
ㅇ 5G 기반 재난재해 통합안정 테스트베드 구축 위한 플랫폼 구축
ㅇ 근로자, 시민의 수요를 기반으로 산업단지내 현장난제와 안전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통합관제 디지털 시범서비스 개발·구축
ㅇ 산단 내·외부 디지털트윈 DB 구축
5. 기대효과
□ 재난·재해 통합안전 시설물 관리체계의 첨단화로 재난재해로부터 산단 내 입주기업, 근로자 등 인명·재산피해 예방
□ 디지털 기반 高생산성 + 에너지 高효율·低오염(그린) 등 스마트 친환경 제조공간으로 전환 추진
- 8 -
|
(지정) 스마트물류플랫폼 구축 (2023~2025, 1차년도) |
1. 사업개요
□ 단지 내 수요기업- 소부장 기업 간 제품구매, 제품개발 계약 등 양방향 소통을 통해 수요기업은 공급망 안정화, 소부장 기업은 예측 가능한 주력제품 생산계획 구축 및 매출발생 등이 가능한 물류 플랫폼 구축
2. 사업예산
(단위 : 억원)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10 |
1 |
11 |
30 |
2 |
32 |
10 |
2 |
12 |
50 |
5 |
55 |
3. 사업추진 필요성
□ 산업단지 중심 중소기업 물류 효율성 극대화 및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공동협력형 스마트 물류·유통 인프라 구축 필요성 증대
□ 코로나19 이후 더욱 중요해진 GVC 경쟁우위 선점을 위해 국내- 글로벌을 연계하는 스마트 기반 체계적 유통망 확립 필요
4. 향후 추진방향
□ (스마트 물류시스템 구축) 수요- 공급기업 간 공유·협력을 위한 스마트 물류시스템
ㅇ 협력社(산단 내 소부장기업- 외부 수요기업) 네트워크 간 양방향 물류시스템 보급 확산, 재고·생산, 물류, 수송경로 등 정보 제공
□ (해외 공동물류 지원) 도 내 소부장기업 국내- 해외 공동물류 거점 구축
ㅇ 산단 내 중소기업 해외 공동물류 발생 시 국가 별 해외 공동물류거점을 기 확보하고 활용 지원, 물류비용 저감 및 안정적 해외 물류환경 조성
5. 기대효과
□ 수요- 소부장 기업 간 생산 효율화, 물류비용 절감, 소재부품 물류정보 확보
ㅇ 스마트 유통망 구축을 통한 산단 내 중소중견기업 주력제품의 매출·수출 확대 및 ‘글로벌 기업(1단계)- 유통망(2단계)의 단계적 제휴 확대를 통해’ 산단 내 기업의 GVC 편입 기회 확대 추진
- 9 -
|
(지정)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 (2023~2024, 1차년도) |
1. 사업개요
□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부품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친환경 자동차부품 제조혁신을 선도할 고급인재 및 실무 기능인력을 육성
ㅇ 기업- 대학간 협력에 기반한 연구역량 강화 및 인재양성 시스템을 통해 인력 미스매치 해소 및 친환경 미래차 전문인력으로 전환
2. 사업예산
(단위 : 억원)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40 |
4 |
44 |
20 |
2 |
22 |
60 |
6 |
66 |
3. 사업추진 필요성
□ 충남 지역 최대 고용산업인 자동차 부품산업이 친환경 첨단산업으로의 급속하게 전환함에 따라 제조혁신 인력 집중 육성 필요
ㅇ 자동차부품업종의 제조기업은 대다수 영세기업으로 급변하는 친환경 자동차 부품개발 및 생산활동 전환에 많은 어려움 예상
4. 향후 추진방향
□ (전문인력 양성) 지역내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 부품 연구인력 육성
ㅇ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 전환 가속화를 위해 제조고도화 및 친환경 자동차 소재·부품·전장 고급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
□ (교육프로그램 및 인적네트워크 구축) 기업기반 실무형,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
ㅇ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 핵심부품기업 취업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ㅇ 지역 소재 기업 지원을 위한 인적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
5. 기대효과
□ 기업의 제조경쟁력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기업 및 산업R&D 역량 강화, 인력양성체계 구축, 원활한 인력 공급 가능
- 10 -
|
(지정) 스마트에너지플랫폼 |
1. 사업개요
□ ICT 기반 전기전자(반도체) 제조산업의 AI기반 지능형 스마트그리드 기술융합으로 기업 상생형 협력구조 마련 및 산단 내 에너지 효율성 제고
2. 사업예산
(단위 : 억원)
‘23년 |
‘24년 |
‘25년 |
합 계 |
|||||||||||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소계 |
정부 |
지자체 |
민간 |
계 |
30 |
3 |
33 |
20 |
2 |
22 |
20 |
2 |
22 |
70 |
7 |
77 |
3. 사업추진 필요성
□ 거점산단내 에너지 다소비 업종인 전기전자(반도체) 등 제조업에 대한 글로벌 규제 대응 및 미래 신산업으로 다각화 등 혁신적 변화 시급
□ 에너지 다소비 생산품목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 불신, 현장 맞춤 설계 미흡, 혁신 기술부재 등의 개선을 위해 에너지 데이터의 수집부터 절감 및 보급까지 전주기적 절감 방안 필요
4. 향후 추진방향
□ (에너지 플랫폼 구축) 실시간 에너지 관리(ESS) 시스템 개발
ㅇ 실시간 에너지 관리 모니터링과 건물(단지 내 공장, 상가 등) 간 에너지 통합·분산처리가 가능한 대용량 ESS 시스템 개발 통한 플랫폼 구축
□ (친환경 에너지관리 기술 개발) 실시간 관리, 소비패턴, 예측서비스 제공
ㅇ 거점산단 내 친환경 에너지(태양광, 지열 등)를 이차전지로 축적하고 관리 가능한 기술개발
5. 기대효과
□ 에너지 생산·소비·거래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및 거점산단내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을 통해 에너지 자립형 그린산단 기반 구축
ㅇ 거점산단 내 상생형 에너지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성장 여건 마련
- 11 -
Ⅴ. 실행계획내 세부사업(안) |
(단위 : 억원, 국비/지방비/민간)
구 분 |
연도별 계획 - 단위(억원) |
소관 부처 |
|||||||
2023 |
2024 |
2025 |
2026 |
2027 |
합 계 |
||||
디 지 털 |
❶ |
스마트 편의시설 확충(물류 플랫폼 구축) |
11 (10/1/0) |
33 (30/3/0) |
11 (10/1/0) |
- |
- |
55 (50/5/0) |
산업부 |
❷ |
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구축 및 운영 |
- |
42 (30/12/0) |
98 (70/28/0) |
112 (80/32/0) |
- |
252 (180/72/0) |
〃 |
|
❸ |
혁신데이터센터 구축 |
- |
20.0 (15/5/0) |
20.0 (15/5/0) |
20.0 (15/5/0) |
- |
60.0 (45/15/0) |
〃 |
|
❹ |
테스트베드 구축 및 기업지원 (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) |
- |
45 (30/15/0) |
45 (30/15/0) |
30 (20/10/0) |
- |
120 (80/40/0) |
〃 |
|
❺ |
(소부장 지원)반도체 패키징 소부장 지원센터 |
- |
63 (45/18/0) |
42 (30/12/0) |
42 (30/12/0) |
- |
147 (105/42/0) |
〃 |
|
❻ |
스마트편의시설 확충(통합관제센터 구축) |
60 (30/30/0) |
70 (35/35/0) |
40 (20/20/0) |
- |
- |
170 (85/85/0) |
〃 |
|
❼ |
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|
44.0 (40/4/0) |
22.0 (20/2/0) |
- |
- |
- |
66.0 (60/6/0) |
〃 |
|
❽ |
스마트산단 제조혁신 기반구축 |
- |
55.0 (37/18/0) |
55.0 (37/18/0) |
40.0 (26/14/0) |
- |
150.0 (100/50/0) |
〃 |
|
❾ |
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|
- |
169.2 (84.2/17.5/67.8) |
169.5 (84.2/17.5/67.8) |
169.5 (84.2/17.5/67.8) |
- |
508.2 (252.6/52.5/203.1) |
중기부 |
|
소 계(A) |
115 (80/35/0) |
519.2 (326.2/125.5/67.5) |
480.5 (296.2/116.5/67.8) |
413.5 (255.2/90.5/67.8) |
- |
1,528.2 (957.6/367.5/203.1) |
|||
그 린 |
❿ |
스마트 에너지 플랫폼 구축 |
33 (30/3/0) |
22 (20/2/0) |
22 (20/2/0) |
- |
- |
77 (70/7/0) |
산업부 |
⓫ |
(소부장 지원)디스플레이 반도체 친환경 지원센터 |
- |
70 (50/15/5) |
70 (50/15/5) |
70 (50/15/5) |
- |
210 (150/45/15) |
〃 |
|
⓬ |
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 |
-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- |
120 (60/45/15) |
〃 |
|
⓭ |
센서기반 그린산단 플랫폼 기술 실증 |
-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- |
120 (60/45/15) |
〃 |
|
⓮ |
미세먼지 없는 그린산단 |
-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40 (20/15/5) |
- |
120 (60/45/15) |
환경부 |
|
⓯ |
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|
- |
200.0 (120/0/80) |
200.0 (120/0/80) |
200.0 (120/0/80) |
- |
600.0 (360/0/240) |
〃 |
|
⓰ |
탄소중립 대응 미래차 융합산업 대전환 |
- |
220.0 (145/60/15). |
165.0 (75/65/25) |
70.0 (30/30/10) |
- |
455.0 (250/150/50) |
〃 |
|
⓱ |
산업계 기후변화 대응 기반구축 및 경쟁력 제고 |
- |
20 (10/5/5) |
20 (10/5/5) |
20 (10/5/5) |
- |
60 (30/15/15) |
〃 |
|
소 계(B) |
33 (30/3/0) |
652 (405/127/120) |
597 (335/132/130) |
480 (270/95/115) |
- |
1,762 (1,040/357/365) |
|||
휴 먼 |
화학물질 사고 Zero 스마트 안전 팩토리 구축 |
- |
7 (7/0/0) |
7 (7/0/0) |
6 (6/0/0) |
- |
20 (20/0/0) |
산업부 |
|
근로자- 가족 질환 제로 헬스 팩토리 산단 구현 |
- |
100 (70/20/10) |
30 (20/5/5) |
30 (20/5/5) |
- |
160.0 (110/30/20) |
〃 |
||
복합 문화센터 건립 |
- |
- |
31.5 (31.5/0/0) |
150.0 (100/50/0) |
- |
181.5 (131.5/50/0) |
〃 |
||
산단 내 스마트 편의시설 고도화 |
- |
- |
30 (30/0/0) |
30 (30/0/0) |
- |
60 (60/0/0) |
〃 |
||
충남 산단 재난·재해 통합안전망 구축 |
- |
70 (49/14/7) |
50 (35/10/5) |
80 (56/16/8) |
- |
200 |
〃 |
||
산단 내 친환경 모빌리티 교통시스템 구축 |
100.0 (70/20/10) |
100.0 (70/20/10) |
100.0 (70/20/10) |
- |
300.0 (210/60/30) |
국토부 |
|||
소 계(C) |
- |
277 (196/54/27) |
248.5 (193.5/35/20) |
396 (282/91/23) |
- |
921.5 (671.5/180/70) |
|||
합 계(A+B+C) |
148 (110/38/0) |
1,448.2 (927.2/306.5/214.5) |
1,326 (824.7/283.5/217.8) |
1,289.5 (807.2/276.5/205.8) |
- |
4,211.7 (2,669.1/904.5/638.1) |
- 12 -